검색결과 리스트
바이오종목/부광약품에 해당되는 글 55건
- 2018.07.06 부광, '성장동력+자금' 확보...일석이조 오픈이노베이션 OTC, 도입품목, 벤처 투자 등 캐시카우 확보…글로벌 자문단 통해 R&D 속도
- 2018.07.05 부광약품이 주목받는 이유?…오픈이노베이션 효과 글로벌신약 후보물질 6개, 글로벌 2상 이상 진행도 3개‥"전면엔 유희원 대표가 있다"
- 2018.07.05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 2018.07.05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 2018.07.01 유희원 부광약품 대표 "OCI와 동행, 빅파마 계약 가능성 ↑" US 바이오 참석, 다국적사 달라진 반응 체험…MLR1023 등 R&D 순항
글
부광, '성장동력+자금' 확보...일석이조 오픈이노베이션 OTC, 도입품목, 벤처 투자 등 캐시카우 확보…글로벌 자문단 통해 R&D 속도
설정
트랙백
댓글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41363
부광약품이 신제품, 기업투자로 발생한 자금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고 있다. 활발한 개방형혁신(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도 발굴하고 R&D 투자 재원도 확보하는 효율적인 투자 전략을 구사 중이다. 연구조직은 글로벌 신약 개발 트렌드에 맞는 빠른 의사결정(Quick win, fast fail)으로 신약 실패 확률을 줄이고 있다.
![](http://pds.dailypharm.com/news_image/201807/241363_1.jpg)
최근 열린 부광약품 기업설명회(IR) 자료에 따르면 이 회사는 '신약 도입 및 신제품 출시'를 통해 수익원(캐시카우)를 확보하는 전략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부광약품은 지난 2013년부터 올 5월까지 총 10건의 파트너십 계약(L/I, Disrtibution 등)을 맺었다.
관련 품목은 라투다(루라시돈), 셀벡스, 메디톡신, 더모메디, 레파바 피엘라토, 멜라진, 나벨빈 경구, 브로퓸, 엑스페리드산, 딜라스틴 등이다. 이중 셀벡스, 메디톡신, 더모메디, 레파바 피엘라토, 브로퓸, 엑스페리드산 6개 품목은 출시한 상태다.
같은 기간 자사/위수탁/공동 개발 신제품은 97개다. 덱시드, 부광엔테카비르 등 전문약(ETC) 20개, 메가바이, 프로바이오틱스 등 일반약(OTC) 67개, 의약외품 10개다.
덱시드는 동남아 5개국에 신약승인신청(NDA)을 냈고 내년 첫 번째 판매 허가가 예상된다. 시린메드 등 치약은 캐나다에 올 3분기 입점이 확정됐다.
제네릭 신제품도 힘을 내고 있다. 부광엔테카비르는 관련 제네릭(바라크루드) 중 2번째 매출을 내고 있고 프레가스타(리리카 복제약)는 출시 7개월 차에 세브란스병원 등 89개처에 리스팅했다.
![](http://pds.dailypharm.com/news_image/201807/241363_2.jpg)
벤처 투자도 활발하다.
부광약품은 자사 중점분야 외 성장잠재력이 큰 생명과학 회사를 투자하고 있다. LSKB, Eyegene, Colucid, Acer, Anterogen, Aurka 등이 그렇다.
일례로 부광약품은 Aurka 투자로 올해 업프론트 약 60억원을 회수하게 되고 마일스톤이 진행되면 추가로 270억원을 받을 수 있어 총 330억원의 투자 수익이 예상된다. 관련 수익은 일라이릴리 (Eli Lilly)가 오르카파마를 업프론트 1.1억달러(약 1172억원)를 포함한 총 5.75억달러(약 6124억원)에 인수하면서 발생했다.
최근에는 대기업 OCI와의 제약바이오 조인트벤처 설립으로 네임밸류와 자금력을 동시에 확보했다. OCI는 지난해 3조6316억원의 매출을 올린 대기업이다. 세계 8개국, 32개 사업장 운영, 4727명의 임직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신제품과 기업투자로 얻은 수익은 R&D에 투자하고 있다.
부광약품의 연구조직은 단출하다. 중앙연구소와 신제품개발실로 나뉜다. 중앙연구소에는 평가, 합성, 제제연구팀, 신제품개발실에는 개발팀, 등록팀, 해외임상·사업팀, 임상팀, PMS/PV팀으로 구성된다. 인원도 40명 정도에 불과하다.
소규모 연구조직은 효율성을 메운다. 트렌드에 맞는 빠른 의사 결정이 대표적이다. 유희원 대표는 "신약 개발은 글로벌 자문단(비임상, 임상 분야 KOL 등) 을 통해 트렌드를 빠르게 따라가고 있다"며 "국내외 BIO 콘퍼런스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http://pds.dailypharm.com/news_image/201807/241363_3.jpg)
빠른 의사 결정(Quick win, fast fail)을 통한 부광약품의 R&D 중심 전략은 △약물 재창출(성공 사례: 프로페시아, 비아그라, 보톡스 등) △개념증명 연구를 통한 의사 결정 △특화 제품 및 미충족 요구가 높은 치료 분야 중점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신약성공확률 3배 증가) △초기 단계 후보물질 개발 등이다.
이렇게 탄생한 부광약품의 주요 R&D 파이프라인은 제2형 당뇨병치료제 MLR-1023, 위암3차 치료제 아파티닙(Apatinib), 이상운동 치료제 JM-010, 전립선암치료제 SOL-804 등이다. MLR-1023의 경우 신약후보물질 도입 4년만에 후기 2상 환자 모집(400명)을 마친 상태다.
R&D는 유희원 부광약품 대표가 지휘하고 있다. 그는 이화여대 약대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약학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2년간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을 역임하고 1999년 부광약품에 입사해 2015년 공동대표에 선임됐다. 올 초부터 단독 대표를 맡고 있다. 부광약품 이력만 약 20년이다.
유희원 대표는 "부광의 역량은 소규모지만 효율적인 연구 조직으로 미국/유럽 파트너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신약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며 "안트로젠 등 이익 창출 및 현금 회수 가능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운영해 자금 확보 전략도 뒤따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종목 > 부광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스토리]제약사 첫 여성 CEO...치밀하고 세심한 '실무형 리더' 명성 ■유희원 대표 경영 스타일은 연구원 출신...R&D 살뜰히 챙겨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에도 매진 출처 : http://www.sedaily.com/News.. (0) | 2018.07.17 |
---|---|
'절치부심' 제넥신, 코스닥 시총 '톱10' 넘본다 (0) | 2018.07.09 |
부광약품이 주목받는 이유?…오픈이노베이션 효과 글로벌신약 후보물질 6개, 글로벌 2상 이상 진행도 3개‥"전면엔 유희원 대표가 있다" (0) | 2018.07.05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글
부광약품이 주목받는 이유?…오픈이노베이션 효과 글로벌신약 후보물질 6개, 글로벌 2상 이상 진행도 3개‥"전면엔 유희원 대표가 있다"
설정
트랙백
댓글
http://m.medipana.com/news_viewer.asp?NewsNum=222300&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http://medipana.medipana.com/data/news_files/20187/EMN15WFYTXQ9DZNKMZHO.jpg)
투자한 기업이 상장을 하거나 신약후보물질이 라이센스 아웃되어 수익이 실현된 사례가 이미 투자 비용을 넘어서 다른 신약 개발 비용을 조달할 정도가 되었고, 그 중 특히 에이서 세라퓨틱스의 에드시보는 올해 FDA에 NDA진행 예정으로 더 높은 수익이 예상되기도 한다.
![](http://medipana.medipana.com/data/news_files/20187/GJX8JSSV19PFXAPF1R4R.jpg)
`루라시돈`은 파트너사인 다이니폰스미토모파마가 미국시장에서만 연 2조원의 판매를 하고 있는 조현병약으로 부광약품은 한국의 개발 판권을 획득하여 3상임상을 진행중이며, 제품 출시되면 회사 매출 증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직간접적으로 투자중인 후보물질이 13개가 더 있는 상황이다.
'바이오종목 > 부광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치부심' 제넥신, 코스닥 시총 '톱10' 넘본다 (0) | 2018.07.09 |
---|---|
부광, '성장동력+자금' 확보...일석이조 오픈이노베이션 OTC, 도입품목, 벤처 투자 등 캐시카우 확보…글로벌 자문단 통해 R&D 속도 (0) | 2018.07.06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유희원 부광약품 대표 "OCI와 동행, 빅파마 계약 가능성 ↑" US 바이오 참석, 다국적사 달라진 반응 체험…MLR1023 등 R&D 순항 (0) | 2018.07.01 |
글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41450
부광약품의 당뇨병신약인 MLR-1023이 이달 내로 환자모집이 종료될 예정이다. 미국에서 40개 사이트와 한국 20개 사이트로 총 60개 사이트에서 4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2상 후기 임상이다. 환자모집이 종료되고 4개월 후 인 11월이면 모든 임상환자에 대한 투약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4일 회사 측은 설명했다.
2013년 말에 유희원 대표가 신약후보물질을 도입하고 4년만에 2상후기까지 임상을 완료하는 것은 상당히 빠른 진행속도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그 사이에 이미 기간이 오래 걸리는 만성 독성 시험을 완료했고, 전세계에 대한 특허도 취득했다.
회사 측은 당뇨 신약으로 판매 중인 자누비아의 2016년도 매출이 3,908M USD, 빅토자의 2016년도 매출이 2,983M USD임을 감안할 때 MLR-1023이 발매된다면 새로운 기전의 글로벌 당뇨병 신약인 만큼 연간 최대 예상 매출이 3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MLR-1023은 기존의 약물들과 전혀 다른 기전의 당뇨병신약으로 전기임상의 결과를 미국당뇨병학회에서 혈당강하 효과와 체중감소 효과까지 있음을 발표했고 기존 약제와 병용에서의 시너지까지 확인이 돼 글로벌 시장의 스탠다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신약이 될 것이라고 사측은 기대했다.
'바이오종목 > 부광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치부심' 제넥신, 코스닥 시총 '톱10' 넘본다 (0) | 2018.07.09 |
---|---|
부광, '성장동력+자금' 확보...일석이조 오픈이노베이션 OTC, 도입품목, 벤처 투자 등 캐시카우 확보…글로벌 자문단 통해 R&D 속도 (0) | 2018.07.06 |
부광약품이 주목받는 이유?…오픈이노베이션 효과 글로벌신약 후보물질 6개, 글로벌 2상 이상 진행도 3개‥"전면엔 유희원 대표가 있다" (0) | 2018.07.05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유희원 부광약품 대표 "OCI와 동행, 빅파마 계약 가능성 ↑" US 바이오 참석, 다국적사 달라진 반응 체험…MLR1023 등 R&D 순항 (0) | 2018.07.01 |
글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41450
부광약품의 당뇨병신약인 MLR-1023이 이달 내로 환자모집이 종료될 예정이다. 미국에서 40개 사이트와 한국 20개 사이트로 총 60개 사이트에서 4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2상 후기 임상이다. 환자모집이 종료되고 4개월 후 인 11월이면 모든 임상환자에 대한 투약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4일 회사 측은 설명했다.
2013년 말에 유희원 대표가 신약후보물질을 도입하고 4년만에 2상후기까지 임상을 완료하는 것은 상당히 빠른 진행속도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그 사이에 이미 기간이 오래 걸리는 만성 독성 시험을 완료했고, 전세계에 대한 특허도 취득했다.
회사 측은 당뇨 신약으로 판매 중인 자누비아의 2016년도 매출이 3,908M USD, 빅토자의 2016년도 매출이 2,983M USD임을 감안할 때 MLR-1023이 발매된다면 새로운 기전의 글로벌 당뇨병 신약인 만큼 연간 최대 예상 매출이 3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MLR-1023은 기존의 약물들과 전혀 다른 기전의 당뇨병신약으로 전기임상의 결과를 미국당뇨병학회에서 혈당강하 효과와 체중감소 효과까지 있음을 발표했고 기존 약제와 병용에서의 시너지까지 확인이 돼 글로벌 시장의 스탠다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신약이 될 것이라고 사측은 기대했다.
'바이오종목 > 부광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치부심' 제넥신, 코스닥 시총 '톱10' 넘본다 (0) | 2018.07.09 |
---|---|
부광, '성장동력+자금' 확보...일석이조 오픈이노베이션 OTC, 도입품목, 벤처 투자 등 캐시카우 확보…글로벌 자문단 통해 R&D 속도 (0) | 2018.07.06 |
부광약품이 주목받는 이유?…오픈이노베이션 효과 글로벌신약 후보물질 6개, 글로벌 2상 이상 진행도 3개‥"전면엔 유희원 대표가 있다" (0) | 2018.07.05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유희원 부광약품 대표 "OCI와 동행, 빅파마 계약 가능성 ↑" US 바이오 참석, 다국적사 달라진 반응 체험…MLR1023 등 R&D 순항 (0) | 2018.07.01 |
글
유희원 부광약품 대표 "OCI와 동행, 빅파마 계약 가능성 ↑" US 바이오 참석, 다국적사 달라진 반응 체험…MLR1023 등 R&D 순항
설정
트랙백
댓글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41233
부광약품이 대기업 OCI와 제약바이오 조인트벤처를 설립하는 등 연구개발(R&D)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핵심 R&D 물질은 임상 진전을 앞두고 있다.
애널리스트, 기관투자자 등에 국한된 기업설명회(IR)를 펼쳐오던 부광약품이 28일 개인투자자 대상 첫 IR를 열었다. 회사 경영 상황을 보다 투명하기 알리기 위한 목적이다.
유희원 부광약품 대표가 발표를 맡았다. 유 대표는 OCI와 손을 잡게 된 속내, R&D 물질 경쟁력 등 회사 비전과 경영 전략을 소개했다.
특히 OCI와의 동행(제약바이오 조인트벤처 설립)은 부광약품의 R&D 파이프라인에 날개를 달아줄 터닝포인트로 기대했다. OCI라는 네임밸류에 빅파마들의 반응이 사뭇 달라졌기 때문이다.
빅파마는 신약 개발 기술력은 물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금력 등도 기업 가치의 핵심 요소로 꼽는다. OCI는 지난해 3조6316억원의 매출을 올린 대기업이다. 세계 8개국, 32개 사업장 운영, 4727명의 임직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OCI는 28일 DCRE 분사를 두고 세무당국과 벌이는 5500억원대 행정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 OCI는 전체 소송금액의 5분의 1 수준인 965억원만 내도된다는 판결을 받았다. OCI는 법인세 환급예상액 및 환급가산금을 제약바이오 사업에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데일리팜은 유 대표의 IR 내용을 일문일답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그는 이화여대 약대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약학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2년간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을 역임하고 1999년 부광약품에 입사해 2015년 공동대표에 선임됐다. 올초부터 단독 대표를 맡고 있다.
OCI와의 조인트벤처 설립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OCI의 네임밸류다. OCI는 지난해 3조6316억원의 매출을 올린 대기업이다. 부광약품 기술력에 더해진 OCI 자금력은 빅파마들에게 매력 요소로 부각되는 분위기다.
실제 체험도 했다 OCI와 US 바이오를 동행했는데 이전과 반응이 다르다. 예전에는 부광약품이 어떤 회사인지, 제품 개발 능력, 자금력 등을 일일히 설명을 해야 했는데 OCI와 합작 후 믿을만한 회사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지난해 말 기준 OCI의 자산 규모는 6조778억원으로 부광약품(2362억원)의 25.7배에 달한다. 작년 OCI의 매출(3조6316억원)과 영업이익(2844억원)은 부광약품(매출 1507억원, 영업이익 77억원)보다 각각 24.1배, 36.9배 많다.
OCI와 합작사 계획은
지적 재산권 있는 R&D 회사를 만드려고 한다. 당장 CMO 사업은 염두에 없다. 바이오시밀러는 늦었다고 생각한다. 시밀러가 아닌 바이오 제품을 하려고 한다. 자금 조달은 내부적으로 양사가 필요한 금액을 일단 지불한다. 2년간 양사에서 각 100억~150억원 정도 내면 될 거 같다. 부광약품도 이정도 능력은 있다. 5년차 이후에 IPO를 생각하고 있다. 투자할 기업은 이미 후보를 정해놨다. US 바이오 등 미팅을 통해 가져온 제품이 잘 되면 향후 늘려나갈 계획이다.
부광약품 R&D 파이프라인은 크게 MLR1023, JM010으로 대표된다. 물질별 경쟁력은
새 기전으로 first in class로 개발중인 당뇨병치료제 MLR1023은 전기 2상을 끝내고 후기 2상 환자를 모집중이다. 내달 환자 등록이 끝날 거 같다. 현재 365명이 등록했고 400명을 채우면 된다. 빠르면 내년초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 같다. 적어도 에피퀀시 결과는 선보일 수 있다.
MLR1023은 인슐린 sensitizer로 베타세포가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이런 기전은 부광약품 말고 하나 정도 더 있다고 생각한다. 후기 2상은 메트포르민과 애드원 임상이다. 현재까지 안전성 문제는 없고 임상 디자인 역시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준비돼 해외 진출에 걸림돌이 없다. MLR-1023 라이센싱 계약 후 4년여만에 빠른 개발 성과를 보이고 있다.
JM010의 경쟁력은
파킨슨병은 머리 속에 도파민이 부족한 거다. 몸이 못만드니까 도파민을 먹어야한다. 다만 도파민이 과하면 너무 많이 움직인다. 도파민 억제 약이 필요한데 그게 LID치료제 JM010이다.
LID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은 아다마스(adamas)의 아만타딘(amantadine)이 유일하다. 그 다음이 부광약으로 보인다. 아만마스는 아만타딘은 미국에서만 2조원을 팔 수 있다고 발표했다. 다만 아만타딘은 부작용이 있다. 환각 증세, 우울증 등 정신계적 부작용이 있어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JM010은 동물 시험에서 아만타딘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도파민 밸런싱도 필요한데 너무 억제하면 파킨슨이 악화된다. JM010은 밸런싱을 잘 이루고 있다. 미국 FDA pre-IND를 준비 중이며 미국 PI는 결정된 상태다. 미국 및 유럽 2상 시험 준비 중이다.
![](http://pds.dailypharm.com/news_image/201806/241233_2.jpg)
부광약품의 연구개발 자금 확보 전략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그러나 부광약품의 중점분야 외의 생명과학 회사를 투자한다. LSKB, Eyegene, Colucid, Acer, Anterogen, Aurka 등이 그렇다. 일례로 부광약품은 Aurka 투자로 올해 업프론트 약 60억원을 회수하게 되고 마일스톤이 진행되면 추가로 270억원을 받을 수 있어 총 330억원의 투자 수익이 예상된다. 관련 수익은 일라이릴리 (Eli Lilly)가 오르카파마를 업프론트 1.1억달러(약 1172억원)를 포함한 총 5.75억달러(약 6124억원)에 인수하면서 발생했다.
신약 검토 및 파트너링 미팅 현황은
JP Morgan(1월8~10일)에서 해외 제약사 CEO와 7회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했다. 라이선스 아웃 미팅 2회(Eli Lilly 등), 나머지는 라이선스 인(shuttle Pharmaceuticals 등) 미팅이다. Bio US(6월 4~7일)에서는 47회 파트너링 미팅을 가졌다. 라이선스 아웃 미팅 10회(Merck 등), 라이선스 인 미팅 37회(Pierre Fabre 등)다.
'바이오종목 > 부광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치부심' 제넥신, 코스닥 시총 '톱10' 넘본다 (0) | 2018.07.09 |
---|---|
부광, '성장동력+자금' 확보...일석이조 오픈이노베이션 OTC, 도입품목, 벤처 투자 등 캐시카우 확보…글로벌 자문단 통해 R&D 속도 (0) | 2018.07.06 |
부광약품이 주목받는 이유?…오픈이노베이션 효과 글로벌신약 후보물질 6개, 글로벌 2상 이상 진행도 3개‥"전면엔 유희원 대표가 있다" (0) | 2018.07.05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부광 당뇨신약 후보 'MLR-1023' 임상 환자모집 완료 (0) | 2018.07.0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