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바이로메드는 지난 8월 9일~10일 양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당뇨병성 족부궤양 임상3상 시험의 본격 진행을 위해 임상연구자 회의(Investigator Meeting)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이번 임상시험의 첫번째 약물투여는 작년 8월에 Miami Dade Medical Research Institute에서 실시됐으며, 지금은 노스웨스턴 의과 대학, 텍사스 심장 연구 센터, 아리조나 의과대학, 세인트 루이스 대학 등 미국 내 23개 병원에서 환자모집 중이다.
현재 8월 9일 기준 22명의 환자들에게 약물이 투여됐다. 당뇨병성 족부궤양 분야에서 유전자치료제 투여는 세계적으로도 처음있는 일이라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참여하는 의사들의 교육과 이해가 필요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번 시카고에서 개최한 연구자 회의에서는 혈관외과(Vascular Surgeon)와 족부(Doctor of Podiatric Medicine) 전문의 등 의사 18명, 연구 간호사 및 코디네이터 29명, CRO 등 총 74명이 참여했다. 이 미팅에서는 VM202 약물의 작용 원리, 임상3상 효율적 진행 방안 등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임상3상의 총 책임자인 Texas Heart Institute Center for Clinical Research의 Dr. Emerson Perin은 "중증하지허혈(CLI)을 대상으로 했던 임상1상과 2상 연구를 통해 VM202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했다. 중증상태인 CLI 임상시험에서 높은 비율로 궤양이 치료되는 우수한 결과들로 미루어볼 때 당뇨병성 족부궤양에서는 더 좋은 결과가 예상 된다"며 기대감을 전했다.
바이로메드의 Clinical Director인 Dr. Marie Nevoret는 이번 임상시험에서 측정될 주요 지표들에 대한 검사 방법과 그 중요성, 약물 투여시 주의 사항들에 대해 발표하면서 족부궤양 관련 FDA 가이드라인을 설명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 VM202 임상3상 주요 프로토콜]
대상질환: 허혈성 당뇨병성 만성 족부궤양 (Chronic Diabetic Foot Ulcer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PAD))
임상시험 규모: 총 300명
임상계획: 위약대조, 이중맹검, 다기관, 무작위배정
약물투여 계획: 2주 간격 4회(Day 0, 14, 28, 42) 총 16mg 투여
유효성 평가 항목
- 1차 지표: 시험약 투여 후 4개월 째 궤양 완치된 환자들의 비율
- 2차 지표: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기까지 소요시간, 궤양크기의 변화율, 새로운 궤양의 형성 등
안전성 평가
김선영 바이로메드 대표는 "첫번째 임상3상 대상이었던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임상시험은 환자 모집이 종료되었는 바 허혈성 당뇨병성 만성 족부궤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이 미팅을 개최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에는 유전자치료제가 시도된 전례가 없기 때문에, 이번 미팅을 통해 의료진들의 이해를 돕고 상호 의견을 나누고자 했다. 이번 미팅을 통해 임상시험을 빠른 시일 내에 완성할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언급했다.
'바이오종목 > Helixmith(바이로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로메드 주담 통화 내용 (0) | 2018.08.18 |
---|---|
난치병 치료 유전자치료제 미래신약 주목…국내 임상만 67건 (0) | 2018.08.15 |
바이로메드, 샌디에고 생산시설의 풀가동을 위해 전문가들 본격 영입 (0) | 2018.08.14 |
바이로메드, HGF유전자의 신경재생 원리를 밝혀 국제학술지 게재 VM202의 disease modifying 능력을 입증 (0) | 2018.08.13 |
바이로메드 "VM202 'HGF유전자' 신경재생 원리 규명" (0) | 2018.08.11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