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진단 및 치료율 제고가 국민보건의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당뇨병의 가장 흔한 만성 합병증으로 환자의 삶의 질 악화는 물론 극단적으로는 치명적 장애를 야기하는 등 국민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지만, 질병에 대한 무관심이 진단과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특히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진단법과 함께 프레가발린 등 효과적인 약물요법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기되는 지적이라 안타까움은 더하다. 당뇨병합병증 No. 1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신경병증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의 비율이 14.4%(31만 8812명)로 전체 조사된 합병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어 눈 합병증(14.1%, 31만 3123명), 말초순환장애 합병증(11.6%, 27만 7924명), 다발성 합병증(5.4%, 11만 9628명), 신장 합병증(4.8%, 10만 6161명) 순이다. 하지만 이 또한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유병률을 명확히 결론짓기에는 어려운 데이터라는 지적도 있다. 임상현장의 진료현실이 정확히 반영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것인데, 낮은 진단 및 치료율로 인한 유병률 저평가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지점이다. 특히 1차기관인 개원가에서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진단과 치료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회자되고 있다. 진단·치료율 낮아 유병률 저평가 관련 전문가들은 이 같은 근거에 기반해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임상증상을 환자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거나 진찰과정에서 당뇨병과 무관한 증상으로 치부되는 등 실제 진료현장에서 진단과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기 어렵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환자들이 무증상으로 인해 질환 자체에 대한 인식이 없으며, 자각증상이 있다 해도 이를 노화 등으로 인한 자연현상으로 이해하고 진료실을 찾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내 조사에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이전에 신경병증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는 환자들은 12%에 불과했다. 미국신경과학회(AAN) 역시 2011년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가이드라인’에서 해당 질환의 진단과 치료율이 13%와 39%로 매우 저조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삶의 질 악화 연구팀은 여기에 더해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환자에서 수면장애, 일상활동장애 등 2차질환이 발생해 삶의 질이 저하된다”고 밝혔다. 관련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의 경우, 심하면 족부절단으로 이어져 사망에 이르기까지 한다”며 신경병증 통증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통한 족부질환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치료하면 통증·삶의 질 개선 가능한데…” 대한당뇨병학회는 신경조직의 손상이 일정 수준 진행되면 이를 회복시키는 근본적인 치료가 아직 없다는 점을 인정하며,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에 관심을 기울여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때문에 우선적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진단을 위해 모든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선별검사를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선별검사로는 MNSI(Michigan Neuropathy Screening Instrument) 설문조사, MNSI 신경학적 신체검사, NDS(Neuropathy Disability Score) 등이 있다. 선별검사에서는 대체로 당뇨병성 신경병증 때문에 나타나는 통증 양상과 정도를 살펴보게 된다. 통증치료 최우선 선택은?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로 나뉜다. 약물치료에는 삼환계항우울제, 항경련제, 선택적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억제제, 아편유사제, 국소도포제 등이 대표적이다. 약물치료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에는 침술, 전기 척수자극, 경피전극신경자극 등도 시도된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은 말초신경의 손상과 함께 중추신경의 반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자극이 없어도 통증이 병적으로 지속되는 상황이다. 증상이 다양하고 기전이 복잡해 치료에 대한 반응도 다양하다. 따라서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의 치료목표는 최대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신체의 기능을 유지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북미 신경과 학계를 대변하는 AAN은 2011년 가이드라인에서 이러한 치료목표에 부합하는 약제의 리스트를 발표, 프레가발린(Level A)을 필두로 가바펜틴·발프로산 나트륨·벤라팍신·둘록세틴·아미트리프틸린·덱스트로메토르판·모르핀 황산염·트라마돌·옥시코돈(이상 Level B) 등을 권고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서 프레가발린은 “효과가 명확히 확립된 약제”라는 설명과 함께 “통증을 동반한 당뇨병성 신장병증 치료에 반드시 적용돼야 한다”며 전체 약제 중 유일하게 Level A 등급으로 권고됐다. 그 만큼 임상근거가 많다는 의미다. 이외 벤라팍신, 둘록세틴, 아미트리프틸린, 가바펜틴, 발프로산 나트륨, 아편유사제, 캡사이신 등은 “효과적일수도 있는 약제”로 언급되며 “반드시 고려돼야 하는 선택”으로 Level B 등급에 이름을 올렸다. 유효성·안전성 동시에 사냥 통증완화에 삶의 질 개선까지 이와 관련해 프레가발린은 AAN 가이드라인 권고의 근거가 된 4개 연구에서 용량 의존적인 통증완화 혜택을 입증하는 동시에 사회활동, 정신건강, 수면장애 등 삶의 질 측면에서 모두 유의한 개선이 확인됐다(P<0.05). 또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치료제의 약물 상호작용과 관련해 프레가발린 복용 환자(2499명)와 둘록세틴 그룹(1354명)을 비교한 연구에서 프레가발린은 약물-조건 상호작용(DCI)이 1.8% 발생했으며, 약물 상호작용(DDI)은 발견되지 않아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당뇨병성 신장병증 통증의 치료율을 높여야 한다는 임상현장의 과제를 실천하는 데 프레가발린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겠다. |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중국 무역전쟁 ..중국 경제학 리샤오 교수 장문의 글 (0) | 2018.08.09 |
---|---|
기사본문 파이낸셜뉴스 *전문기자 코너)공매도와 사투 벌이는 상장사, 개인투자자 (0) | 2018.08.09 |
Google이 투자한 바이오 기업 (0) | 2018.08.09 |
"기술의 경계선 사라졌다"‥빅파마가 투자하는 것 "포트폴리오 강화위한 인수·공동개발·기술수출 더 활발해 질 것" (0) | 2018.08.09 |
정부-삼성, 바이오 규제완화 논의.. 업계 "정책 예측가능성 높여라” (0) | 2018.08.0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