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스템바이오텍 IR Room.

https://m.irgo.co.kr/ir-room/3202/%EA%B0%95%EC%8A%A4%ED%85%9C%EB%B0%94%EC%9D%B4%EC%98%A4%ED%85%8D-IR-ROOM


주주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IR담당자의 노력과 성원에 열렬한 박수를 보냅니다. 


투자 생활 20년 동안 이렇게 자세하게 적극적으로 주주들 질문에 답변하는 회사는 처음 봅니다. 


그것도 인력이 부족한 바이오벤처회사인데... 참..존경할 만한 회사입니다. 


주주로서 주가는 지지부진하지만 언젠가는 바이오업계의 큰 별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아래는 최근 올라온 글 들중에 투자에 참고할 만한 글들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스템 주주입니다. 현 아토피 치료제는 물론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까지 중장기적으로 보고 회사에 투자를 했습니다. 향후 파이프라인을 보고 더욱 장기적으로 가져갈 의향도 있습니다. 아토피치료제 3상 성공하고 류마티스 마저 성공한다음 회사에서 타겟으로 잡은 고객들에게 매출이 나온다는 가정하에 회사 매출 규모는 얼마정도 잡으시고 계신지요? 그리고 목표주가(보수적으로)는 얼마보시는지 궁금합니다.

IR담당자2019.01.28 11:14

네.....질문 감사합니다. 현재 공식적으로 추정한 매출은 없습니다. 공략 가능한 잠재 환자군은 추정이 되나, 판매가 등의 확정되지 않은 요소들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아울러, 목표주가는 사실 회사 IR담당자 보다는 애널리스트분들의 영역이 아닌가 싶습니다. 현재까지 내부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상품성 혹은 시장성 관련 데이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내 판매 * 공략가능 환자군 (성인 아토피 환자중 중등도이상 환자군) : 30만명 - 출처: 건강보험 청구건수 데이터 - 중등도 이상의 아토피피부염은 고통의 정도를 감안시, 고가의 치료제에 대한 회피, 가격저항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 * 달성 가능 시장침투율: 30%이상 (10만명 내외) [근거] - 현재 중등도 이상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는 듀피젠트가 유일 - 항체 치료제의 경우, 초기 불응성 및 내성발생, 타질환 감염율 증가 등의 부작용 존재 - 항체치료제가 대상 환자수를 100% 커버 불가능 - 데이터 종합할 경우, 30% 시장침투율 달성 기대 - 추가적인 시장점유율 확대는 퓨어스템의 치료효과, 안전성, 가격경쟁력을 근간으로 경쟁을 통해 달성 목표 - 판매 관련 구체적인 전략은 현재 수립중 * 판매가능 연간 매출액은 공략 가능 환자군에 판매가를 곱하면 추산가능 - 판매가는 현재 미정이나, 바이알당 700~1,000만원 수준으로 가정 가능 * 초기 시장침투율은 생산 한계등을 고려, 30만명의 10%에서 시작 계획 - 당사 GMP 완공후 초기 CAPA는 연간 36,000 vials - 대량 생산 공정 안정화 이후 점진적으로 CAPA는 증가시킬 계획 * 초기 생산량(36,000바이알) 전량 판매시 연간 매출액 규모: 2,500~3,600억원 


2. 해외 아토피 환자 규모 * 선진 7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과 중국, 인도 대상 아토피 환자 모집단: 7천만명 추산 - 출처: 글로벌데이터 2017 * 이중 Moderate(중등도), Severe(중증)는 각각 10~15% 정도로 내부 추산 - 추산 근거 1) 듀피젠트 2019년 시장 Target Moderate 7%, Severe 10% 2) 미국 TCI(칼시뉴린저해제) 실제 환자구성 조사 Moderate 15%, Severe 15% 3) US Market Value($) 2024년 전망 자료 Moderate 10%, Severe 14% - 퓨어스템 AD 주의 글로벌 공략 가능 환자집단수 : 900~1,000만명 수준 (7천만명*15%) 보수적으로 Severe(중증) 대상만 타겟할 경우, 15% 정도의 환자군이 퓨어스템 AD의 공략가능 환자군으로 판단 - 기본 시장 침투율 30% 가정시: 300만명 - 추가적인 시장점유율(침투율)은 기전적 우위, 안전성, 가격경쟁력으로 경쟁을 통해 달성 가능 3. 결론: 다음과 같은 논리를 통해 아토피 치료제의 시장성은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


1. 퓨어스템CD(건선) 임상 결과는 언제 나오나요? 2. 퓨어스템CD(크론병) (1/2a) 임상자 수는 총인원: 24명(1상 6명, 2a상 18명)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 중 1명이 부족하여 임상결과를 발표하지 못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현재까지 진행결과를 중간발표할 수는 없는가요? 임상자 수를 꼭 다 채워야 됩니까? 현재까지의 결과가 좋다고 하면 중간결과를 발표를 하면 임상자를 더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IR담당자2019.01.30 15:15

네....일단 제가 알아본 부분까지는 답변 드리고 추후에 보완해서 추가로 말씀 더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1. 퓨어스템CD(건선) 임상 결과는 언제 나오나요? => 이전 질의에서 저희가 건선 치료제 임상에서 기대하는 바는 고용량 2억셀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 특히 용량상관성 확인이라고 말씀드린바 있습니다. 일단 안전성의 경우, 현재까지 특별한 문제가 없었다고 들었습니다. 유효성관련 데이터는 아직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들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달받았습니다. 제가 담당자에게 좀 더 알아보고 추후에라도 보완해 드릴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 퓨어스템CD(크론병) (1/2a) 임상자 수는 총인원: 24명(1상 6명, 2a상 18명)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 중 1명이 부족하여 임상결과를 발표하지 못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현재까지 진행결과를 중간발표할 수는 없는가요? 임상자 수를 꼭 다 채워야 됩니까? 현재까지의 결과가 좋다고 하면 중간결과를 발표를 하면 임상자를 더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네....마지막 1명까지는 다 채워야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중간발표가 환자 모집에 도움이 될수 있다는 지적은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중간발표에 대해서는 이전 질의에서도 답변 드린바 있습니다. 중간발표는 처음 임상 신청 단계에서 포함되어 허가를 받아야만 가능합니다. 크론병 같은 경우는 2013년 신청당시 중간발표 내용을 포함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중간발표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현재, 부족분 환자 1명의 경우, 최대한 노력해서 빠른 시일내에 마무리짓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향후 임상 계획에 대해서도 공유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변팀장님 오늘도 수고 많으십니다. ^^ 퓨어스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제대혈은 어떻게 스크리닝하시나요? 산모가 유전병이 있다든지 리스크를 담은 제대혈은 스크리닝 하시는 것 맞나요? 아님 제대혈 공급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하는건가요?

IR담당자2019.01.30 15:08

네....질문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제대혈은 산부인과를 통해 기부를 통해 얻어지고, 저희 직원이 직접가서 확보합니다. 현재 국내법상 제대혈의 거래 및 매매는 불법입니다. 산부인과 의사를 통해 산모분께서 기증의사를 밝히고 동의하시면, 문진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문진표상 내용중, 1) 면역계질환 여부, 2) 혈액질환, 3) 기타 감염 위험 개연성 등을 체크/스크리닝합니다. 이후 혈액체취와 검사를 통해 스크리닝이 이루어집니다. 이후 GMP센터에 운송후, 본격적으로 각종 규정에 따라 각종 품질 검사를 진행합니다. 여기서 품질기준에 미달할 경우, 제대혈은 폐기됩니다. 구체적인 검사 내역이나 과정등은 복잡하므로 설명은 못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사실 문과생 출신이 설명하기에는 전문적인 내용이 많습니다. 혹여 궁금하시면 따로 연락주시면 담장 직원에게 알아보고, 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언급하신 유전병 등의 병력도 산부인과 의사, 문진표, GMP 자체 QC 검사를 통해 다단계로 스크리닝됩니다. 여기에 생산 과정 중간중간이나 생산이후에도 QC 검사는 계속됩니다. 결과적으로 제대혈 스크리닝 절차 및 기준은 매우 엄격하므로, 안전성 관련해서는 안심하셔도 될것같습니다. ^^


posted by 투자를 통해서 배우는 인생